먼저 애플리케이션 파일에서 사용할 템플릿 엔진을 설정하고 템플릿 파일을 저장할 곳을 지정한다.
화면에 띄우고 싶은 ejs 파일
컨트롤러에 가서 get 함수 안에 화면에 보여주고 싶은 ejs 파일을 res.render() 함수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그 결과 해당 get 주소로 가서 보면 해당 ejs 템플릿을 화면에 보여준다.
이제는 원하는 값을 템플릿에 전달하여 화면에서 볼 수 있게 하려고 한다.
다시 해당 컨트롤러로 가서 임의로 변수를 만든 후에 res.render() 함수 뒤에 원하는 값을 중괄호 안에 추가하여 넣는다.
동적인 콘텐츠 처리를 위해 <% : 자바스크립트, <%= 변수 를 사용하였다.
우선 받아온 users 값들을 foreach문을 돌려 전체 값들을 불러오게끔 했다.
주소로 가 보면 다음과 같이 동적인 값들이 불려져 온 걸 확인할 수 있다.
대게 public 폴더에다가 CSS 파일이나 JS 파일, 이미지 파일들을 모아놓고 사용한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프로젝트 : 연락처 수정 후 삭제 (0) | 2024.04.03 |
---|---|
[Node.js] 프로젝트 : 연락처 표시 후 추가 (0) | 2024.04.02 |
[Node.js] CRUD 코드 작성 (0) | 2024.03.28 |
[Node.js] 컨트롤러 만들기 (0) | 2024.03.28 |
[Node.js] 몽고DB 설정 후 사용하기 (0)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