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Bean을 이용하여 arr 리스트에 객체를 추가 한다.

 

 

 

 

forEach 구문을 이용하여 arr 리스트에 있는 객체들을 순회하여 출력하는 게 가능하다.

 

 

 

 

그 결과....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숫자로된 문자와 숫자를 더할 경우 숫자로 된 문자가 정수형으로 변환되어 더해진다. 하지만, 문자 그 자체와 숫자를 더할 경우 에러가 뜬다. 연산자 div를 쓸 경우 '/'를 쓴 것과 동일하다. mod와 '%' 역시 마찬가지

 

 

 

 

empty를 통해 객체에 요소 존재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boolean 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true나 false가 출력된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forEach 구문 사용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useBean

자바 빈은 웹 프로그램 시 여러 객체를 거치면서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데 사용

useBean에 접근해 속성 값을 설정하거나 가져오는 setProperty와 getProperty가 있다.

 

 

 

main.jsp에서 html을 설정.

 

 

 

이미 생성한 userVO 클래스(아이디, 비밀번호, 닉네임을 정의하는 객체, getter, setter, 생성자를 가짐)로 bean을 생성하고, setProperty로 useBean의 속성에 값을 설정한다. param은 value의 역할을 하며, 앞의 main.jsp에서 각 input의 name 요소가 param에 들어간다. 만약 property와 param의 글자가 같으면 param은 생략이 가능하다.

 

 

 

결과, UserVO가 출력됨.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forEach 구문 사용  (0) 2023.07.29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forward 액션 태그

서블릿에서 다른 서블릿으로 포워딩하는 방법. forward 액션 태그를 사용하면 자바 코드 없이도 포워딩 가능하며, 포워딩 시 다른 서블릿이나 JSP로 값을 전달 가능하다.

 

 

 

만약, userID가 null이거나 길이가 0이라면, forward.jsp 페이지에 포워딩하고, 파라미터 이름을 message로 하고 값을 넣는다. 그리고 포워딩한 forward.jsp 페이지에서 message 파라미터를 얻고, 얻은 message가 null 이 아니라면 화면에 메세지의 값이 나타나게 한다.

 

 

 

아이디를 치지 않고, 로그인 버튼을 누를 시, 화면에 메세지가 나타나게 된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JSP] 홈페이지 지정  (0) 2023.07.27

액션 태그

스크립트릿의 자바 코드를 제거하고 디자이너 입장에서 더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태그 형태로 기능을 제공하는 액션 태그들로 자바코드를 대신하도록 함

 

 

예시

먼저 include.jsp 파일을 만들고, html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normal.jsp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액션 태그들을 집어 넣는다. include 액션 태그는 이미 있는 JSP를 현재 JSP에 포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param 액션 태그를 이용해 included.jsp에서 요청한 파라미터의 값을 넣는다.

 

 

 

 

실행 후 normal.jsp를 조회한 결과, 다음과 같이 보여진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JSP] 홈페이지 지정  (0) 2023.07.27

먼저 이름과 나이를 적는 request.jsp를 생성한다.

 

 

 

response.jsp를 만들고, jsp 구문을 이용하여 name과 age를 파라미터로 불러온다.

그리고 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정상적으로 출력됨, 만약 request.jsp를 거치지 않고 response.jsp에 접속하면 null 값이 뜬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홈페이지 지정  (0) 2023.07.27

먼저 home.jsp에서 HTML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web.xml에서 welcome-file-list를 생성 후 원하는 jsp를 집어넣는다.

 

 

 

그 결과 실행 시, 뜨는 홈페이지 창은, 아까 생성했던 jsp를 보여준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EL 표현언어  (0) 2023.07.29
[JSP] 액션 태그 (useBean)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forward)  (0) 2023.07.28
[JSP] 액션 태그  (0) 2023.07.27
[JSP] 파라미터 요청, 응답  (0) 2023.07.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