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goose 작업으로 MongoDB에 CRUD 작업을 할 예정이다. 지난번에 contactModel.js 에서 만든 모델을 컨트롤러에 전달하였다. 그때 설정했던 모델의 모델명은 "Contact"

 

 

 

 

값 넣기 (CREATE)

해당 모델에 create() 함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도큐먼트를 넣을 것이다. name, email, phone 값을 저장하도록 하였다.

 

 

 

 

Body의 Json으로 값들을 집어 넣었다.

 

 

 

 

몽고DB로 가면 myContacts 라는 DB가 생겼다. 이건 이전에 .env 에서 커넥션 스트링을 입력할 때 맨 끝에 슬래쉬 뒤에 적은 DB의 이름이다. 그리고 그 밑의 contacts라는 데이터베이스의 컬렉션 이름이 있는데, 만든 모델의 모델명에서 앞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꾼 뒤, s가 붙여진 것이다. 도큐먼트 밑에 내가 저장한 값들이 들어가 있었다.

 

실험을 위해 INSERT를 다른 내용으로 2번 더 했다.

 

 

 

 

 

조회 (READ)

 

전체 조회를 원할 시, find()라는 함수를 이용한다. 썬더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해본 결과 모든 값들이 조회되었다.

 

 

 

 

특정 id의 도큐먼트를 조회하고 싶다면 findById() 함수를 이용한다. req 에서 불러온 파라미터의 id 값으로 조회해본 결과 해당 id의 도큐먼트가 조회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수정(UPDATE)

 

요청에서 불러온 바디 값들을 불러온다. findById() 함수로 원하는 id의 데이터를 불러와서 db에 있는 값들을 불러온 바디값으로 수정한다.  save() 함수로 바꾼 값들을 저장하면 된다.

 

 

 

 

 

 

Body JSON에 바꾸고 싶은 값을 적어서, 주소에 해당 아이디로 전송하면, 해당 아이디의 도큐먼트내의 값들이 Body로 보낸 값으로 수정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삭제(DELETE)

 

수정 보다 간단하다. 해당 ID 값을 파라미터로 불러와서 해당 id의 도큐먼트를 불러온 뒤, deleteOne() 함수를 이용하여 삭제하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