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과 같이 설정 후, 스프링 boot 사이트에 가서 프로퍼티를 가져온다.
맨 위 LOG 부분에 위 사이트에서 가져온 프로퍼티를 설정한다.
configuration.xml의 모습
맨 처음 보면 메인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것을 삭제하면 안된다.
th 속성을 이용한 동적인 view를 제공한다. 기존의 foreach문이랑, 링크, 텍스트 모두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야 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 (0) | 2023.08.23 |
---|---|
[Spring DB] 게시판 만들기 (5) : 댓글 구현 (0) | 2023.08.22 |
[Spring Boot] 타임리프(Thymeleaf)란? (0) | 2023.08.18 |
[Spring] HTTP Request (0) | 2023.08.18 |
자바스크립트의 fetch() 함수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