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dtbl의 pk는 stdName
clubtbl의 pk는 clubName
num은 PK, stdName은 FK(stdtbl), clubName도 FK(clubtbl)
각각 DTO 클래스를 만들고 생성자, getter, setter, ToString 생성
그리고 둘을 합친 StudentClubDTO 클래스를 만든 후, 객체로 불러온다.
먼저 stdtbl의 첫 튜플을 select문으로 불러올 것이다. 간단한 식이라서, student-mapper.xml에서 따로 설정하지 않고 바로 위에 @Select 어노테이션을 이용한다.
Select문으로 불러온 값
이제 조인 연산자를 이용한 쿼리문의 Select 값을 불러올 차례. N:M(다대다) 관계
데이터를 모두 불러오려면 리스트로 묶어야 한다
쿼리가 길고, resultMap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xml에서 매핑한다. resultMap에서 association을 이용한다.
SELECT문의 결과 튜플값들을 불러온 모습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B] 게시판 만들기 (2) (0) | 2023.08.14 |
---|---|
[Spring DB] 게시판 만들기 (1) (0) | 2023.08.11 |
[Spring DB] HikariCP, MyBatis로 DB 연결 (0) | 2023.08.09 |
[Spring] 범용 에러처리 클래스 (0) | 2023.08.07 |
[Spring] 로그인 실습 (0) | 2023.08.07 |